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진료안내

항생제내성균 감염관리

CRE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요로감염, 폐렴, 패혈증 등을 일으키는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한 세균

정의

카바페넴(Cabapenem)은 세팔로스포린이나 광범위 베타락탐제(beta-lactamase)에 내성을 가진 세균들에 대한 중요한 항생제 중 하나이다.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은 요로감염, 폐렴, 패혈증 등 다양한 감염 질환을 일으키는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Enterobacter cloacae 등에서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한 세균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런 카바페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균주의 출현은 거의 모든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슈퍼박테리아(superb acteria, extreme drug resistance)의 출현에 한걸음 다가서는 것이다. 카바페넴에 대한 내성을 갖게 하는 효소의 종류에 따라 Class A, B, C, D로 분류된다. 그 중 Class A, C, D의 베타락탐제(beta-lactamase)는 세린기가 필요한데 비해, Class B는 zinc의 활성이 필요하여 금속성베타락탐제(metallo-beta-lac tamase)라고 불리운다. NDM-1이란 일부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이 생성하는 New Delhi Metallo-beta lactamase 라는 효소를 지칭하는 말이다.

증상

NDM-1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에 감염되면 이 항생제에 감수성 있는 장내세균 감염증과 동일하게 패혈증, 폐렴, 요로감염 등을 일으킨다.

치료

주로 중환자실에 장기 입원하거나 면역체계가 저하된 중증 환자에게 감염을 일으키며 일상생활에서 감염될 가능성이 적다. 또한 감염되었다 하더라도 치료 가능한 다른 항생제가 있다.

VRE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감염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infection]

반코마이신 또는 테이코플라닌 등 글리코펩티드 계열 항생제에 내성인 장알균에 의한 감염 신체기관요로계, 호흡기계, 피부, 순환기계, 뇌수막관련 증상통증 , 설사 , 홍반 , 발열 , 빈뇨 및 야간뇨

정의

장알균(Enterococcus)은 사람들의 입안, 위장관, 질, 요도에 정상적으로 상주하고 있는 세균이다. 장알균은 요로감염, 복강내 감염, 균혈증을 일으킬 수 있고 골관절 감염, 감염심내막염 등의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기도 한다. 장알균 중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흔한 세균은 Enterococcus fecalis와 Enterococcus faecium이며, 장알균의 치료에는 페니실린(penicillin)이나 암피실린(ampicillin)을 사용하고 이러한 약제에 내성인 경우에는 반코마이신(vancomycin)이나 타이코플라닌(teicoplanin)을 사용한다.

증상

균이 감염증을 일으키지 않을 때에는 아무런 증상이 없다.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에 의한 감염증의 증상은 감염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만약 상처에 감염되었다면, 감염 부위는 일반 항생제 치료로 잘 낫지 않고, 발적과 통증이 나타난다. 요로 감염이 생긴 경우에는 소변을 눌 때 등이 뻐근하게 아프고, 작열감을 느끼게 된다. 또는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이외에 설사를 하거나, 몸살을 앓거나 열이 오를 수도 있다.

치료

일반적으로 감염증을 일으키지 않은 상태로 몸에 존재하는 균에 대해서는 치료하지 않아도 된다. 균이 감염증을 일으켰다면 반코마이신이 아닌 다른 항생제로 치료하게 된다. 검사실 검사를 통해 균이 내성을 가지고 있지 않고, 감수성을 보이는 항생제를 찾아 치료에 사용할 항생제를 선택한다.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에 의한 심각한 전신 감염에는 반코마이신(vancomycin)이나 테이코플라닌(teicoplanin)에 내성이므로 이들 약제를 쓸 수 없고, 퀴누프리스틴-달포프리스틴(quinupristin-dalfopristin)이나 리네졸리드(linezolid) 등을 사용해야 한다. 만약 균에 의한 감염증이 있는 환자가 유치도뇨관(소변줄)이나 정맥관을 가지고 있다면 제거하는 것이 좋다.

MRSA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감염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메티실린을 비롯한 모든 베타 락탐 계열 항생제에 내성인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감염 질환

정의

포도알균(포도구균, staphylococci)은 1878년 코흐(Heinrich Hermann Robert Koch)가 처음으로 현미경 상에서 포도송이 같은 형태를 보이는 것을 기술하였다. 1880년 파스퇴르(Louis Pasteur)가 골수염 환자에서 처음 배양하였다. 포도알균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며, 환경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여 생물체에 기생하지 않고도 장기간 생존할 수 있는 세균이다. 건강한 사람의 피부, 점막, 상기도, 비뇨기, 소화기 등에 정상적으로 존재하고(상재균), 공기, 바닥, 집기 등의 주변 환경에도 존재하지만, 피부의 상처나 호흡기를 통하여 쉽게 인체에 감염될 수도 있다. 포도알균 속(genus)의 다양한 종(species) 가운데 황색포도알균(황색포도구균, S. aureus)이 다양하고 심각한 질병을 흔히 일으키기 때문에 의학적으로 가장 중요하다. 황색포도알균은 사람의 비강 앞쪽이 주요 보유소(질병을 일으키지 않고 상재균으로 있는 곳)이다. 황색포도알균이 큰 문제가 되는 이유는, 심한 질환을 잘 일으키면서 치료 약제에 대한 심각한 내성이 흔하기 때문이다. 황색포도알균 균주(strain, 전체 인류 집단이 황색포도알균이라면 개개인은 균주에 해당)의 대부분이 페니실린(penicillin)에 내성이 된 것은 이미 오래전 일이고, 현재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의 증가가 문제이다. 합성 페니실린 계열 항생제 중 메티실린(methicillin)과 옥사실린(oxacillin) 등은 베타 락탐 분해효소(beta-lactamase)에 의해 파괴되지 않으므로, 베타 락탐 분해효소를 생산하여 페니실린에 내성인 황색포도알균을 치료하는 데 널리 쓰여 왔다. 그러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서는 베타 락탐 계열 항생제(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 카바페넴(carbapenem), 모노박탐(monobactam) 등)가 균을 죽이기 위해 목표로 삼는 표적 자체가 변형되어 있다. 따라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은 메티실린 및 옥사실린에 내성일 뿐만 아니라 다른 베타 락탐계 항생제에도 모두 내성이다.

증상

황색포도알균은 화농성(고름 형성) 감염을 일으키는 균으로서 피부 농양의 주요 원인균이며, 대부분의 인체 장기에 농양 병소를 만들 수 있다. 패혈증, 심내막염, 뇌수막염, 폐렴, 골수염 등의 전신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치료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은 대개 베타 락탐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다른 계열의 항생제에 대해서도 내성이어서, 치료제로 반코마이신(vancomycin)이나 테이코플라닌(teicoplanin) 등 글리코펩티드(glycopeptide) 계열 항생제를 정맥 주사로 투여한다. 이외에 전신 감염은 없지만 콧구멍에서 균이 생존하는 경우에는 박트로반(bactroban)이나 뮤피로신(mupirocin)을 도포한다. 습진이나 욕창에 국소적으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이 감염되었다면 박트로반 연고를 발라 치료한다. 농양이 있는 경우에는 외과적 방법으로 농양을 배액시킨다.